주의사항
1. 작물보호제(농약)는 사용 전에 반드시 해당 제품의 포장지(라벨) 표기내용을 잘 읽고, 포장지
표시사항의 적용대상 작물 및 병해충, 잡초 등 이외는 절대 사용하지 마십시오.
2. 농약을 정해진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 농약관리법 」에 의거 과태료가 부과되며 직불금
수령 등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작물보호제는 절대 어린이나 글을 모르는 노약자 손이 닿는 곳에 놓거나 보관하지 마십시오.
4. 사용방법에 관한 주의사항
‘사용적기 및 방법’ 란에 경엽처리 등 살포방법이 특별히 명시되지 아니한 것은 반드시
농약포장지를 확인 후 사용하십시오.
수화제 및 입상수화제 등 희석제농약은 사용약량을 지켜 물에 희석한 후 분무기를 이용하여
작물에 충분히 묻도록 뿌리십시오.
입제농약은 물에 희석하지 마시고 사용방법 및 사용량에 따라 사용하십시오.
포장지의 표기사항이 이해가 되지 않거나 의문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회사에 문의하십시오.
5. 일반 주의사항 약을 뿌리실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리시되 작업 후에는 입안을 물로 헹구고 손, 발, 얼굴 등을 비눗물로 깨끗이 씻으십시오.
농약을 섞어 뿌리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당해연도에 해당회사에서 제공한 농약혼용가부표를
확인하여야 하며 혼용이 불가능하거나 혼용가부표에 없는 경우에는 절대로 섞어 뿌리지 마십시오.
사용시기와 방법을 잘 지키시고 중복하여 사용할 경우 약해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주십시오.
자동차, 벽 등의 도장면, 대리석, 화강암에 살포액이 묻으면 변색할 우려가 있으므로 살포액이
묻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살포전·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으십시오.
사용 후 남은 희석액과 살포기를 씻은 물은 하천 등에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안전하게
처리하십시오.
병뚜껑(봉지)을(를) 열(뜯을) 때 신체(눈, 코, 입, 피부 등)에 내용물이 묻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이상기후(이상고온, 이상저온, 과습, 건조 등)에서는 약해의 우려가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적용대상작물과 병해충·잡초 이외에는 절대 사용하지 마십시오.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반드시 지키십시오.
살포작업은 한낮 뜨거운 때를 피하여 아침·저녁 서늘할 때 하십시오.
살포작업은 한 사람이 2시간 이상 계속하지 마십시오.
제4종 복합비료(영양제)와 농약을 섞어서 살포하는 것은 약해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하십시오.
농약 살포시 주변작물 및 인가 등으로 바람에 날려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6. 비선택성제초제 주의사항 작물에 묻지 않도록 사용하십시오.
사용한 후에는 방제기구를 반드시 세척하십시오. 작물에 근접 살포 엄금
7. 해독방법 - 반드시 포장지에 표기된 약제별 해독방법 참조 중독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안정을 취해야 하며 반드시 의사의 지시를 받으십시오.
잘못하여 먹었을 때는 바로 소금물을 먹여 토하게(토하지 않게) 하고 의사의 치료를 받으십시오.
유기인계 농약의 해독제로는 팜(정제, 주사제) 및 아트로핀(주사제)이 있으며 카바메이트계는
아트로핀(주사제)이 있습니다. 그러나 해독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하십시오.
8. 농약보관 및 농약빈용기 배출 농약은 가능한 개봉직후 모두 사용하시고 사용 후 남은 농약은 잘
밀봉한 뒤 햇빛을 피해 건조하고 서늘한 장소에 보관하십시오. 농약은 의약품, 식료품 또는
사료의 보관장소와 구분하여 보관하십시오.
농업인이 영농활동으로 발생한 농약빈용기를 한국환경공단 각 지역수거사업소에 배출하면
플라스틱병은 개당 100원,봉지류는 개당 80원에 빈병보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한국환경공단
농약빈용기수거 문의 ARS 1661-6620)
이 제품은 농약이므로 다른 용기에 옮겨 보관하지 마십시오.
신체에 이상(감기, 알레르기, 임신, 천식, 피부병 등)이 있을 때는 약제 살포 및 취급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