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식도성 역류염에 대한 이해

by 오르락내리락 2024. 2. 8.
반응형

식도성 역류염의 원인

식도성 역류염,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GERD)은 위에서 분비된 위액을 비롯한 소화 효소들이 식도로 역류하여

염증성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식도성 역류염 이미지
식도성 역류염 이미지

 

위 내용물의 양적 증가: 식후나 유문 협착, 위 내용물 정체, 위액 분비 과다 등으로 위 내용물이 증가하면, 이것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식도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눕거나 구부리는 자세로 인해 위 내용물이 식도

가까이에 위치하면 역류가 잘 일어납니다.

 

하부 식도 괄약근의 이상: 위와 식도 사이에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주는 조임쇠 역할을 하는

하부 식도 괄약근에 이상이 생기면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식도성 역류염의 증상

 

식도성 역류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명치 부근의 통증, 가슴이 답답함, 소화불량, 잦은 트림, 목의 이물감, 잦은 기침,

속 쓰림 등이 있습니다. 특히, 가슴 쓰림과 위산의 역류, 소화불량 등이 가장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식도성 역류염의 치료법

 

식도성 역류염의 치료에는 주로 위산 분비 억제제를 처방합니다 .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위식도역류질환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바로 위산이기 때문입니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는 제제 특성에 따라 크게 위산 분비 억제제,

위산을 중화시키는 제산제, 점막 보호제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활 습관 변화도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과식과 야식을 피하고 식사 후 바로 드러눕지 않아야 하며,

기름진 음식, 술, 담배, 커피, 초콜릿 등을 삼가야 합니다. 또한, 비만이라면 체중을 반드시 줄여야 합니다.

 

식도성 역류염에 대한 주의사항

식도성 역류염이 수십 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식도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평소 아래의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1.소량씩 자주 식사하기

  2.지방이 많거나 매운 음식, 카페인 및 알코올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 및 음료 피하기 취침 3시간 이내에는

    음식물 섭취 자제하기

   3.침대 머리 부분을 6~8인치 올리기 (역류성식도염 베개를 사용하여 올릴 수 있음)

 

식도성 역류염은 재발률이 80%에 달할 만큼, 재발률이 매우 높은 질환입니다.

하지만 평소 생활 습관만 잘 개선한다면 충분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